목차
“영츠하이머”라는 단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영츠하이머는 젊다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 'Young'과 기억력 퇴행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를 합성한 신조어입니다. 이는 젊은 나이에 겪는 심각한 건망증과 기억력 감퇴를 일컫습니다.
단어의 의미처럼, 실제로 20~30대 사이에서 최근 치매 질환을 앓고 있지 않지만 기억상실이나 우울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러한 증상의 원인으로는 과도한 디지털 기기의 사용, 사회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 과도한 음주 등이 꼽힙니다.
뇌 건강이 어느 때보다도 위협받는 요즘, 일상생활에서 재미있게 뇌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두뇌게임, 그중에서도 스도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스도쿠가 뇌건강을 지키는 이유
혹시라도 스도쿠가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드리자면, 스도쿠는 9x9 크기의 격자에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채워넣는 숫자 퍼즐 게임입니다. 이토록 단순한 게임이 어떻게 뇌건강을 지킬 수 있는 것일까요?
스도쿠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 하나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영국 엑서터 대학교 메디컬 스쿨의 Helen Brooker 외 8인의 연구진은 약 2만 명을 대상으로 스도쿠와 인지 기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후, 그 결과를 2019년 2월 자 National Institution of Health에 개제하였습니다.
50세 이상이며 치매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고, 총 두 단계에 걸쳐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첫 번째 단계: 라이프스타일 설문
연구의 시작에서는 실험 대상들에게 라이프스타일 설문을 진행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은
"스도쿠와 같은 숫자 퍼즐을 얼마나 자주 하시나요?" 라고 질문을 하였고,
응답자들은 하루에 1번 이상/매일 1번/일주일에 1번/한 달에 1번/가끔/전혀 하지 않음 총 6가지 응답을 하였습니다.
두 번째 단계: 인지력 검사
라이프스타일 설문 이후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7일 동안 2가지의 검사가 최대 3번씩 실시되었습니다.
첫 번째 검사는 PCTB라는 검사로, 주의력과 작업 기억을 측정하였습니다.
두 번째 검사인 CogTrack에서는 주의력 및 추론 능력 등을 평가하였습니다.
연구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
총 두 단계에 걸친 설문과 검사의 결과, 스도쿠와 같은 숫자 퍼즐을 많이 할수록 아래와 같은 인지력 분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회상
공간 기억
주의
처리 속도
결과적으로, 스도쿠와 같은 두뇌 게임이 특정 인지 영역을 발달시킨다기보다는 전반적인 인지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연구자들은 그 이유로 스도쿠를 풀 시에 문제 해결, 기억, 실행과 같이 뇌 기능의 전반적인 측면을 활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뇌건강 지키기, 간단한 두뇌게임에서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두뇌운동, 데카르트로 쉽게 시작해보세요!
'뇌건강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예방은 식탁에서 시작합니다: 효과가 검증된 치매예방음식 알아보기 (19) | 2024.02.14 |
---|---|
쉬운 치매예방운동, 한번 따라해 보실래요? (42) | 2024.02.06 |
포스파티딜세린 효능 | 뇌영양제 효과, 복용법, 부작용, 치매 (39) | 2024.02.01 |
뇌영양제로 뇌건강 챙겨보기 (32) | 2024.02.01 |
치매예방식단: 지중해식 식단 톺아보기 (16) | 2024.01.23 |